중독의 임상적인 용어는 중독을 "약물의 사용에 과도하게 얽매이고 약물의 공급을 계속 원하고 약물을 사용하는 것을 중지시킨
후에도 그 중지하는 것이 끝난 후에 다시 재발하는 충동적인 약물 사용 행동의 패턴"으로 보았다. 다시 말해, 중독(addiction)이라는
용어는 약물의 투여를 포함하는 경우에만 적용하는 것으로 여겼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중독은 여러 가지 양상으로 나타나며,
시대가 변함에 따라 그 유형도 다양하다는 사실이 부각되기 시작했다. 1980년대 이후 컴퓨터가 보급되면서 컴퓨터 중독이라는
용어도 새로이 등장하게 되었다. 1990년대를 넘어서자 인터넷의 사용이 널리 퍼져 갔고 1996년에 들어서면서 인터넷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인터넷 중독도 중독의 한 현상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여기서 인터넷 중독(Internet Addiction)이란 "정보이용자가 지나치게 컴퓨터에 접속하여 일상생활에 심각한 사회적, 정신적,
육체적 및 금전적「지장」을 받고 있는 상태"라고 정의할 수 있다.
분류
1) 강박적 집착과 사용
인터넷을 하지 않는 동안에도 인터넷을 할 생각만 한다.
인터넷에서 뭔가 새로운 일이 일어나고 있을 것 같은 생각에 사로잡혀 있다.
대부분의 시간을 인터넷을 사용하는데 보낸다.
처음에 의도했던 시간보다 더 오래하게 된다.
2) 내성과 금단
만족하기 위해서 점점 더 많은 시간을 인터넷 사용으로 보낸다.
만족하기 위해서 점점 더 자극적인 것을 찾는다.
인터넷을 하지 않으면 불안, 우울, 초조감에 시달린다.
인터넷을 하게 되면 마음이 편안해진다.
수업 중에도 게임소리가 귓전을 맴돈다.
밤에 잠자리에 들어도 눈이 말똥말똥해지며 다음에 인터넷을 할 생각에 빠져있다.
밤마다 잠자리에 누우면 천장이 컴퓨터 화면으로 보이고, 그 속에 장면이 어지럽게 펼쳐진다.
컴퓨터를 하고 있지 않는 동안에 자신도 모르게 컴퓨터 자판을 두드리고 있다.
3) 일상생활 장애
인터넷에 한번 들어가면 그만두기가 어렵다.
인터넷 사용을 줄이거나 조절하려는 욕구가 지속적으로 있었지만 실패한다.
인터넷을 하기 위해 다른 일을 미루거나 포기한다.
인터넷 사용으로 수면 시간이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인터넷을 하기 위해서 거짓말을 자주 한다.
인터넷 사용에 방해를 받으면 몹시 화내거나 때로는 부모에게 반항한다.
인터넷을 하느라 중요한 약속을 어기거나 공부 및 직장 일을 소홀히 한다.
업무능률이나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직장을 잃기도 한다.
인터넷 사용으로 학업성적이 저조하고 학교를 그만두기도 한다.
친구를 만나지 않고 취미활동에도 관심이 없어진다.
가족과 보내는 시간이 줄어들며 가족과도 소원해진다.
부모에게 불복종하며 심하면 가출한다.
배우자와 갈등을 일으켜 별거나 이혼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4) 신체적 증상
밤을 새워 인터넷을 사용하므로 일상생활주기(circadian rhythm) 교란
만성피로감, 눈의 피로, 시력저하, 근골격계 장애가 온다.
불규칙한 식사로 인한 영양실조, 혹은 운동부족과 과식으로 인한 체중증가
혈압상승, 심장마비, 돌연사 등이 초래된다.
5) 기타 : 시간에 대한 지각 왜곡
밤을 새워 인터넷을 사용하므로 일상생활주기(circadian rhythm) 교란
만성피로감, 눈의 피로, 시력저하, 근골격계 장애가 온다.
불규칙한 식사로 인한 영양실조, 혹은 운동부족과 과식으로 인한 체중증가
혈압상승, 심장마비, 돌연사 등이 초래된다.
분류
가.우울증
인터넷 중독자의 54%가 우울증 경력을 가지고 있는 등(Young, Caugh in the Net) 전반적으로 우울성향과 인터넷 중독성향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결과는 여러 연구에서 반복적으로 검증되고 있다.
우울성향이 높은 사람들은 현실공간에서의 대인관계보다는 사적인 공간에 머무를 수 있는 인터넷을 선호하는 경향이 높을 것 볼 수 있다.
나. 자존감
인터넷은 사회생활에 잘 적응하지 못하거나 다른 사람들의 인정을 받지 못해 자존심에 상처를 입은 사람들에게 매우 유혹적인 공간으로 여겨지고 있다.
인터넷에서 이루어지는 사회적 관계는 신체적인 정보가 배제된 채로 이루어지고 또한 익명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실생활에서 자존감이 낮은 사람들이 인터넷에서는 자신의 모습을 숨기고 자신이 되고자 하는 이상적인 모습을 가질 수 있기에 이들에게 인터넷은 매력적인 것을 넘어서 중독적인 공간이 될 것이다.
즉 실생활에서 대인관계에서 부적응적인 사람의 경우 낮아진 자아 존중감을 회복하기 위해 인터넷상의 대인관계에 중독되게 된다는 것이다.
다. 외로움
Krout 등(1998)의 사회적 고립에 대한 인터넷의 영향 조사에 따르면, 인터넷의 사용이 많은 사람의 경우 더 많은 외로움을 느낀다는 사실이 보고되었다.
즉, 인터넷의 사용이 시간 활용에 있어서 사회적 활동을 대신하는 역할을 하며, 현실관계의 끈끈한 관계를 가상공간에서의 느슨한 관계가
대신하면서 외로움이나 불만족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라. 공격성
인터넷은 다양한 압력과 공격적 충동을 적절히 표출할 줄 모르는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경험한 다양한 좌절감을 표현하는 공간으로
적절하다고 보고 있다(Suler, 1998). 이와 같이 청소년에게 있어서 뿐만 아니라 인터넷은 익명성과 표현의 자유로 인해 내면의 공격성을 표출할 수 있는 좋은 공간이다.
Young(1998)은 인터넷의 게임 영역을 언급하면서 게임의 사용에 있어서 공격성이 나타나고 있다고 보았다.
국내에서도 인터넷 상에서의 언어 폭력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고 보고되어지고 있는 등 인터넷의 사용이 공격성을 증가시킨다고 할 수 있다.
본 내용은 인터넷중독 현황 및 실태조사(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1) 인터넷중독상담전략(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2)을 재구성한 것입니다.
★위의 모든 내용은 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www.iapc.or.kr)의 내용을 발췌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