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기본 서브비주얼
  1. HOME
  2. 알림마당
  3. 가정통신문

가정통신문

2025학년도 6월 제주 장애공감주간행사 학부모대상 장애인식개선교육

  • 작성자익명
  • 등록일 2025.06.02
  • 조회수 96

IMG_114255509.png


IMG_114304529.png


1. 장애란 무엇일까요?

장애란 신체적, 정신적 장애로 오랫동안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서 어려움이 있는 사람을 말합니다. 하지만, 요즘 세계에서는 환경학적, 생태학적으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 장애를 개인과 환경간의 상호작용의 결함으로 생긴 것으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불편함을 느끼는 것 모든 것이 장애를 만든다는 것으로, 환경을 조성하고 그것을 잘 꾸려 나아가야 하는지가 중요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환경이 어떻게 작용해야 우리가 사회적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지, 그 참여를 보장받을 수 있는지의 관점에서 우리는 사회적 환경의 제약이라는 큰 장벽을 없애야 합니다.


2. 특수교육이란 무엇일까요?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따르면 특수교육이란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 시키기 위해 특성에 적합한 교육과정 및 특수교육관련서비스를 제공해주는 교육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특수교육대상학생은 특수교육이 필요로 하는 학생으로 개인의 차이, 장애 정도 및 종류에 따라 적합한 개별화교육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수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특수교육대상학생에게 개인 맞춤형 특수교육을 제공함으로서 자아실현과 사회적 통합을 이룰 수 있도록 기여하여 독립적인 생활을 영위하는 것입니다. 또한, 개별화교육을 통해 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교육을 제공하여 개인별 성취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3. 유니버설 디자인과 보편적 학습 설계

. 유니버설 디자인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이란, 상품, 시설, 서비스의 이용자들이 성별, 나이 장애 등으로 인해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한 보편적인 디자인을 뜻합니다. , 모든 이용자가 공평하게 사용(Equitable Use)하고 유연성있게 사용(Flexibility in Use)해야 하며 간단하고 직관적인 사용(Simple and Intuitive Use)하고 접근하고 물리적인 노력을 적게 소요(Low Physical Effort)할 수 있도록 설계한 것을 유니버셜 디자인이라고 합니다.


1) 생활속 유니버설 디자인의 사례


사 진

설 명

IMG_114340628.png

제주시에 흔히 보이는 저상버스가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버스 바닥이 낮고 계단을 없애 휠체어 등 승하차하기 편한 저상버스로 바꿈으로 유니버셜 디자인을 도입한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IMG_114343739.png

기존의 자동문은 버튼을 눌러야 열렸지만 수정 보완한 자동문은 센서가 작동해 자동으로 문을 열어줘 거동이 불편하거나 짐이 많은 사람에게 유용한 유니버설 디자인 예시 중 하나입니다.

2) 배리어 프리

배리어 프리(Barrier-free)는 장애인 및 고령자, 임산부 등의 사회적 약자들의 사회 생활에 지장이 되는 물리적인 장애물이나 심리적인 장벽을 없애기 위해 실시되는 운동 및 시책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배리어 프리 영화 및 극장, 배리어 프리 키오스크. 배리어 프리 건축물 등이 있습니다.


. 보편적 학습 설계(UDL)

보편적 학습 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은 유니버설 디자인에 입각한 교육 설계로 모두를 위한 교육을 지향하는 학습 설계입니다. 모든 학생들은 저마다의 능력, 학습 스타일, 배경 지식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수업 장면에서 있는 모든 학생들을 위해 학습에 접근 가능하고 효과적으로 만드는 일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적인 틀을 의미합니다. 보편적 학습 설계에는 크게 다양한 정보 제시 방법 제공, 다양한 표현 방법의 제공, 다양한 참여 수단의 제공인 3가지의 원리가 있습니다.


1) 다양한 정보 제시 방법

모든 학습자는 서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특히, 시각장애 학생의 경우, 수업을 할 때 학습지, 책에 있는 글씨 크기가 작아 불편해하는 모습을 보여 얼굴을 책과 학습지에 가까이 다가가 읽는 등 자세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치기도 합니다. 그래서 모든 학습자가 읽기 편할 글씨 크기의 학습지 혹은 책을 제작하여 모든 학생이 교육적 접근이 가능하도록 설계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해당 학습지를 읽어주거나 관련 이미지를 띄워 주는 것도 해당하는 방법입니다.


2) 다양한 표현 방법 제공

학습자들의 학습 환경 및 표현 방식은 모두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 능력에 맞게 다양한 표현 방법을 구상한 학습 설계를 제공하는 원리입니다. 예를 들어, 글쓰기가 힘든 학생은 구어로 표현하거나 그림으로 나타내며, 손이 불편한 학생은 보완대체 의사소통 프로그램(AAC)를 사용하여 다양한 학습 표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있습니다.


3) 다양한 참여 수단 제공

동기부여를 위한 다양한 참여 방법의 제공으로 학습자의 참여를 위한 동기를 부여하고 학습자의 능력과 흥미, 적성 및 발달 특성을 고려한 학습을 제공함으로 학습자가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참여와 내적 동기를 고취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 보편적 학습 설계의 종류 중 하나가 될 수 있습니다.

2025. 6. 2.


제주동초등학교장



IMG_114643295.jpeg

IMG_114642558.jpeg

IMG_114642124.jpeg

IMG_114641744.jpeg

첨부파일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폼
상단이동 하단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