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여건 | ➕ | 학생·학부모 요구 | ➕ | 지역 현황 |
∙ 서귀포시 대정읍에 위치한 공립 일반계고등학교임 ∙ 인근 서귀포시 동지역 일반고에 우수학생 쏠림 현상 ∙ 학생 구성원간 학력 편차가 매우 심해 교육과정 재구성 시급 ∙ 대학 진학과 생활지도에 열정을 지닌 교사가 자율형 공립고 준비 ∙ 창업체험교육 중점학교 운영
|
∙ 교육여건 개선 및 정주여건 마련에 대한 학생·학부모의 요구가 많음 ∙ 사교육이 어려운 지역으로 공교육의 의존도가 높고, 수도권 대학 진학에 대한 열의가 높음 ∙ 문화· 예술적 소양을 경험할 수 있는 기관 및 단체의 부족으로 교육기회 불평등이 발생한다고 생각함
|
∙ 지역 산업구조가 1·3차 산업에 편중됨 ∙ 고령화, 기업의 부재로 청소년층의 지역 내 정주 여건 악화 ∙ 스타트업 및 관련 기관의 창업 인큐 베이팅 교육 기반은 조성됨 ∙ 연계기관의 교육 인프라 제공에 대한 인식이 피상적 수준에 그치고 있음
|
|



중점 협약기관 | 기관명 | 제주대학교, 제주한라대학교, 제주관광대학교, 서귀포시청, 탐나라공화국 최남단대정읍마을관리사회적협동조합, 제주더큰내일센터, |
협약사유 | ∙인프라 부족으로 인한 교육 기회의 불평등 해소 및 대학과 학교의 협업 수업 운영으로 심화 학습 기회 제공 ∙지역에 정주하며 미래를 준비하는 교육과정 및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개발로 학교 밖 학습 환경 조성 ∙비판적 사고와 도전정신, 혁신 역량을 키워 세계인으로 성장하는 글로벌스타트업 중심 교육과정 지원 |
협약·운영위원회 구성 | 총 13명 | 학부모위원(1명), 교원위원(3명), 지역위원(1명), 협약기관위원(7명), 교육청 추천위원(1명) |
기타 연계기관 |
제주스타트업협회, 제주벤처기업협회, JIBS방송, 제민일보 송악도서관, 제주YWCA |
최근 업데이트 일시 : 2025/03/18 14:43:38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